1. 뇌우의 발생
- 뇌우는 번개를 동반한 폭풍우로, 잘 발달한 적란운에서 발생한다.
2. 적란운의 발달 조건
- 대기 불안정으로 강한 상승 기류가 있을 때
- 여름철 강한 햇빛에 의해 지표 부근의 공기가 국지적으로 가열되어 활발하게 상승할 때
- 한랭 전선에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찬 공기 위로 빠르게 상승할 때
- 발달한 온대 저기압이나 태풍 등에서 강한 상승 기류가 있을 때
◇ 적란운은 지름이 수십 km이며, 높이는 대류권 계면(10 km) 에 이른다. 번개와 우박을 동반하기도 한다.
3. 뇌우의 생성과 소멸
-
적운 단계 : 구름 내부의 온도가 주변 기온보다 높아 강한 상승 기류가 발생하면서 적운이 급격하게 성장한다. 강수 현상은 미미하다.
-
성숙 단계 : 따뜻한 공기의 상승 기류와 찬 공기의 하강 기류가 공존한다. 찬 공기의 하강 기류는 강한 돌풍과 함께 소나기, 번개, 천둥, 우박 등을 동반한다.
-
소멸 단계 : 구름 하부에서 상승 기류를 형성하는 따뜻한 공기의 유입이 줄어들면, 구름 내부에는 전체적으로 하강 기류만 남게 되어 구름이 소멸된다.
4. 뇌우의 피해
- 소나기, 번개, 천둥, 우박, 돌풍 등을 동반하기 때문에 인명 피해, 농작물 파손, 가옥 파괴 등의 막대한 재산 피해를 가져온다.
5. 뇌우의 예보
- 규모가 작아 일기도 상에는 잘 나타나지 않으므로 예측이 매우 어렵다.
1. 집중 호우
- 짧은 시간 동안 좁은 지역에 많은 양의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것
2.지속 시간
- 수십 분~수시간이며, 강수 구역은 반지름 10~20 km의 비교적 좁은 지역이다.
3. 발생 원인
- 장마 전선이나 저기압에서 적란운이 한 곳에 오래 머무를 때 발생하며, 번개 · 천둥을 동반하기도 한다.
- 태풍이 다가올 때 집중 호우가 내리기도 한다. 이는 태풍 앞쪽에서 밀려온 고온 다습한 공기가 북쪽의 찬 공기와 만나 급격히 상승하면서 적란운을형성하기 때문이다.
4.피해 및 예보
- 홍수나 산사태 등을 일으키며, 국지적 현상이라 예측이 매우 어렵다.
- 기상청에서는 12시간 예상 강수량이 80 mm 이상일 경우와 150 mm 이상일 경우에 각각 호우 주의보와 호우 경보를 발표한다. (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200~1300 mm)
1. 토네이도
- 매우 강한 저기압 중심에서 발생한 회오리 바람
2. 발생 원인
- 넓은 바다나 평지에서 강력한 저기압이 생성될 때,중심부에서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 공기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적란운 하부에서 지상까지깔때기 모양으로 빠르게 회전하는 회오리 바람이 형성된다.
3. 토네이도의 생성 과정
① 서풍과 남동풍이 충돌해 회전하는 공기 덩어리 생성 ↓ ② 공기덩어리가 수직으로 중규모 저기압을 형성 ↓ ③중규모 저기압에서 토네이도 생성 |
4. 규모 및 지속 시간
- 폭이 보통 1 km 이내인 국지적인 현상으로 지속 시간이 짧지만 중심 풍속이 100~200 m/s에 달하므로 파괴력은 매우 크다.
5. 피해
- 회오리 바람 내부와 주위의 기압 차가 매우 커서 엄청난 흡입 현상으로 토양이나 집, 차와 같은 큰 물건을 들어올리기도 하고 해상에서 물줄기를 끌어올리기도 한다. (해상에 생긴 토네이도를 용오름이라고 한다.)
1. 해일
-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해수면이 해안 근처에서 더욱 높아져 육지로 넘쳐 들어오는 현상
- 폭풍 해일 : 태풍 등의 저기압에 의한 해수면 상승 또는 바람에 의한 해수면 유동이 원인으로 황해에서는 겨울철에, 남해에서는 태풍이 오는 계절에 주로 발생한다.
- 지진 해일 : 해저 지진이나 화산 폭발로 해저의 상하 운동이 일어날 때 해수가 이동하며 발생한다. (쓰나미라고도 부름)
◇지진 해일의 전조
큰 지진이 발생한 후 해수면이 갑자기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쓰나미가 온다는 신호이므로 즉시 내륙이나 고지대로 대피한다.
◇ 해일의 높이 : 해일을 발생시키는 파도는 먼 바다에서는 파고가 그다지 높지 않다 하더라도 수심이 얕은 해안으로 다가오면 파고가 매우 높아지므로, 해안 지방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.
2. 해일과 조석
- 해일이 만조 시간에 발생하면 해수면이 더욱 높아지면서 더 큰 피해를 입힌다.
3. 기타
- 폭설, 폭염, 열대야, 황사, 강풍 등의 기상 현상이 있다.
- 지구 온난화로 인해 이상 기상의 발생 횟수가 증가하고 있다.
'관심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륙이동설 (0) | 2020.12.29 |
---|---|
홈플래닛 초음파 가습기 4L (0) | 2020.12.28 |
일기예보 (0) | 2020.12.28 |
스모그 (0) | 2020.12.27 |
사막화 현상과 황사 현상 (0) | 2020.12.26 |
댓글